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도권 집값, 유동성 증가에 따른 부동산 시장 과열 우려

by 나라짱3 2024. 9. 14.
반응형

최근 수도권 집값이 급등하는 가운데, 시중 유동성이 다시 한 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부동산 시장의 과열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발표와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1. 통화량 증가: 광의통화(M2) 14개월 연속 증가

2024년 7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데이터에 따르면, 광의통화(M2)의 평균 잔액이 전월 대비 16조 3000억 원(0.4%) 증가한 4053조 9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6월 이후 14개월 연속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전년 대비 증가율이 6.2%로, 2022년 10월(6.4%)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2. 수익증권의 영향

M2의 증가는 주로 수익증권의 큰 폭 증가에 기인합니다. 최근 한 달 동안 수익증권이 10조 8000억 원 증가하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라 단기 채권형 펀드 중심으로 수익증권이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이러한 증가가 통화량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3.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통화량의 증가는 부동산 가격 상승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이승헌 숭실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M2가 수익증권을 중심으로 늘었다고 해도, 전체 양과 증가 폭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하며, “6월에 이어 M2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6%대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은 안심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의 과열 우려를 더욱 부각시키는 요소입니다.

4. 정부와 연구기관의 경제 동향 평가

기획재정부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우리 경제는 물가 안정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견조한 수출과 제조업 중심의 경기회복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한국개발연구원(KDI)은 현재 내수가 부진하며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KDI는 높은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기조로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요약

광의통화(M2) 7월 평균 잔액 기준으로 4053조 9000억 원, 전년 대비 6.2% 증가
수익증권 10조 8000억 원 증가, 금리 인하 기대감 반영
부동산 시장 통화량 증가가 부동산 가격 상승에 영향 미침
정부 평가 물가 안정 및 경기 회복 흐름 지속, 내수 회복 조짐
KDI 평가 내수 부진, 기준금리 인하 필요

 

통화량 증가와 부동산 시장의 관계를 분석하며,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향후 부동산 시장의 움직임과 정부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통화

반응형

바로가기